논문
대승기신론소ㆍ별기에 나타난 인식론의 유아교육적 의미 연구Ⅱ -인식 과정과 원리를 중심으로
저자 : 권은주, 신양재 ISBN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발행년도 : 2012
간행물 : 한국영유아보육학 제73집 권·호 : /
페이지 : pp. 123 - 148 (26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대승기신론소ㆍ별기에 나타난 인식론의 유아교육적 의미 연구Ⅱ.pdf
소개
키워드
#인식론#삼세육추#분별성#의타기성#훈습#epistemology#three unconscious and six conscious cognition#differentiation#dependent origination#suffus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인식 과정
Ⅲ. 인식 구성 원리
Ⅳ. 유아교육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대승기신론소?별기』를 인식론적 관점에서 인식 과정과 원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알아보았다. 우선 『대승기신론소?별기』에 나타난 인식 과정은 삼세육추(三細六?)의 9상(相)의 선험적 형식으로 전개되는데, 아라야 식의 삼세(業相, 轉相, 現相)과정에서 인식주관과 객관이 분화되고 육추(智相, 相續相, 執取相, 計名字相, 起業相, 業繫苦相)과정으로 전변하여 인식을 낸다. 그리고 인식은 분별성(分別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 원리로 구성된다. 즉 인식은 나와 나의 주변 대상에 대해 호오의 분별로 분화되어가고, 자기의 내인(因)만으로는 생기기 어렵고 반드시 다른 외적 계기(緣)를 조건으로 하여 전개된다고 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삼세육추의 인식 형식은 소통가능한 공통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유아교육사태에서 지식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식구성에 있어서 자아의 주관성, 호?오?고?락의 감정수반, 몸을 통한 체험, 훈습, 그리고 외연으로서 교육과 교사 등의 유아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aeseung Kieshin non So Byelkie. The analysis on this Buddhist literature is focused on the process and the principles of knowing.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process of knowing is three unconscious phases and six conscious phases of the transformation of mind. In three unconscious phases, mind functions as condition of the appearance of phenomenon and triggers cognitive process. In six conscious phases, the mind works a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introspection and evolves cognitive processes as a consequence of experiences. Then, by the process of impressions, perceptions, naming, and volitions, knowledges on self and objects are constructed in mind. Also, the principles of knowing are differentiation and dependent origination.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ion works by feelings of pleasures and pains. The principle of dependent origination forms concepts the way that something exists only in and through dependence on another thing. The implic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at without learner"s subjectivity, there can be no knowing objects. Thus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consider important preschoolers" subjectivity, feeling such pains or pleasure, physical experiences, perceptual context of learning, and teacher as outer efficacy.
다음글 : 『대승기신론소 · 별기』에 나타난 마음이론의 유아교육적 의미 연구 Ⅰ
이전글 : 新羅 文學思想의 전개와 古典詩歌史의 관련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