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Understanding of the 21 Letters Incantation of Tonghak and the Lord’s Prayer, in View of Wŏnhyo’s Hwajaeng Philosophy on Language
저자 : 정종성 ISBN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발행년도 : 2019
간행물 : 신학과 사회 제33권 제4호 권·호 : /
페이지 : pp. 63 - 104 (42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Understanding of the 21 Letters Incantation of Tonghak and the Lord’s Prayer, in View of Wŏnhyo’s Hwajaeng Philosophy on Language.pdf
소개
키워드
#원효와 화쟁#주기도문#동학#21자 주문#언어의 본질
초록
Wŏnhyo’s hwajaeng is an extensive argument analyzing positions of the incongruents, showing their underpinnings and contextual framework leading to each position, wherein it creates a commensuration of variant doctrines and interpretations. His hwajaeng is the ultimate task for the resolution of discrepancies to be undertaken, trying to reveal the truth by cutting off conceptual hallucination resorting to the words. Utilizing Wŏnhyo’s hwajaeng philosophy as methodology to interpret the Lord’s Prayer and Tonghak’s “21 Letters Incantation” which appear to b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forms and contents of the texts. They have their own divergent views on humanity and the sense of divinity. Going beyond their literal formulation, however, this work explores that there are not a few convergencies between them: they commonly comprise dual aspects of transcendence and immanence, God and humanity, individual and entirety, not attempting to truth claims through scholastic dogmatization, but instead seeking the practice of their respective faiths within their mundane life, particularly at the time of suffering and incomprehensibility of God. If the Lord’s Prayer impels its devotees into the active engagement by self-denial and compassion toward everyday people in specific time and place, then the 21 Letters Incantation likewise concerns desperately pleading humans, as well as such God who dwells and is worshipped within their bodies at the same time. Through a mature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language by Wŏnhyo’s hwajaeng, it is never opaque for the practitioners to commonly experience both dimensions of heaven and earth, other-power and self-power. In it, sich’ŏnju characterized God as dwelling in the heart of every person, as well as the spiritual energy prevalent in the world, which is convergently assumed in both prayers to some extent, though its wording is not identical.

원효의 화쟁은 특정한 체계를 세우거나 특정한 주장을 우선시하는 입장을 결코 취하지 않으면서, 언어와 개념의 환상에서 벗어나, 일심 (一心)으로 돌아가게 하는 종교-철학적 해석학의 한 방법론이다. 본 연구는 원효의 화쟁 철학에서 추출한 일심의 해석학적 방법론을 주기도문과 동학의 21자 주문의 주요 언어와 개념 해석에 적용하면서, 각 기도문이 가지는 핵심가치와 지향점을 서로 비교 분석한다. 원효의 해석학적 방법론 적용을 통해, 기도문이 각자의 종교적 혹은 해석적 전통 속에서 어떠한 고유성과 지향점을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각자의 고유성을 뛰어 넘어 어떠한 보편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주기도문의 자기 비움 혹은 자기 초월적 요청과 세상의 문제나 고통과의 연대라는 내재적 요청과, 동학 주문의 시천주조화정(侍天主造化定)과 지기(至氣)라는 역동적 실재에 대한 내면화와 책임인식 등이 서로를 끌어안고 함께 움직이듯 대화한다. 각각의 고유성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보편에 함몰되지 않는 동시에, 서로를 확장적으로 바라보면서 스스로를 변혁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각 기도문은 언어와 개념의 차이, 신과 궁극적 실재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언어와 문화적 개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인식을 넘어서서 오히려 인간의 고통 해소를 위한 책임적인 연대와 개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각 기도문은 특수한 문화적 역사적 상황 속에서 특정한 문화적 역사적 질문에 대한 반응과 해결책으로 주어진 것이지만, 일심의 해석학적 방법론으로 재정의해 본다면, 각 기도문에서 인간의 처절한 고통 문제를 해소하려는 보편적 목소리를 발견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종교간 사회계층간 대화와 소통을 위한 한국적 성서해석학 방법론의 창조적 담론을 제시한다. 주기도문과 21자 주문은 텍스트 상으로 매우 다른 표현과 개념을 사용하고 있어 인간과 신성 혹은 궁극적 실재에 대한 감각과 인식에 있어서 서로 상반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두 기도문 사이에 합일되고 있는 부분들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두 기도문이 공통적으로 “저 건너편”의 신적 존재를 전제하고 있으며, 또한 종교적 진리 주장을 학술적 교리체계로 표현하지 않고 실제 삶의 세계에 속한 평범한 일상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공통적으로 각 기도문이 전제하고 있는 이면에는, 고통스런 삶의 현실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감추어진 신적 신비 혹은 궁극적 실재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참고 인내하며 현실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개조해야 하는 책임적 존재임을 드러내주고 있다. 이러한 기도문을 통하여, 수행자는 초월과 내재, 타력구원과 자력 구원이라는 개념적 언어함정에 빠지거나 환원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자기 안에서 두 세계를 동시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다음글 : Text as nanjang [marketplace]: A Dialogic Reading of Jesus’ Parable (Luke 16:1-9) with M. Bakhtin, Wõnhyo and Ch’oe Che-u.
이전글 : Fusion and Cre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