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원효의 ‘六品圓融’사상과 대중교화
저자 : 이병학 ISBN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발행년도 : 2010
간행물 : 한국학논총 제34권 권·호 : /
페이지 : pp. 353 - 389 (37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원효의 ‘六品圓融’사상과 대중교화.pdf
소개
키워드
#원효#금강삼매경론#금강삼매경#육품원융#대승기신론#신라중대왕실#Wonhyo#the 『Geumgang­sammaegyeong­ron』
초록
원효는 『대승기신론』의 핵심구조를 『금강삼매경』에 적용하여 주석서인 『금강삼매경론』을 작성하였다. 나아가 『대승기신론』을 모든 경전과 결합함으로써 대중교화를 적극화 하였다. 또한 『금강삼매경』에 등장하는 보살들의 명칭은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용어와 부합된다. 따라서 원효가 『금강삼매경』의 결집과 밀접함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원효는 중생을 위한 다양한 방편을 ‘육품’구조에 적용시켜 깨달음에 이르게 하였다. 즉 ‘육품원융’은 다양한 방편을 인정하면서도 결국 하나의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대중교화의 기제이다. 말하자면 차별적 방편인 ‘6품’을 결국 ‘하나(원융)’로 보아 당시 대중교회승들의 분발을 유도한 것이다. 결국 원효는 이러한 논리를 통해 자신의 실천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었다.

Wonhyo had hold dear to the 『Daeseunggisinron(大乘起信論)』 as well. for that reason Wonhyo got composition that the Sutra(『金剛三昧經』). his 『Geumgangsammaegyeongron(金剛三昧經論)』 emphatically asserted that all man are able to have awakening samely. so he paid attention to equal position, and the Integration of Six Chapter in the Sutra(六品圓融論理). Maybe These structure of 『Geumgangsammaegyeong(金剛三昧經)』 gave the consolation to the populace at that time. It means that all man are equal in spiritual awakening. and then, Wonhyo had a adjustment numerous Sutras grounded on 『Daeseunggisinron(大乘起信論)』 because this Satra(論:the book of commentary in all Mahayana Sutras) got a possibility of inclusion in various doctrines of Buddhism. Consequently on the strength of theory of integration which was called in 『Daeseunggisinron(大乘起信論)』, The people of three nations(Goguryo高句麗․Baekje百濟․Silla新羅) are considered as a one nationality. It is a reflection of spirit of the unification period obviously.
다음글 : 원효『 기신론해동소』에 나타난 원음(圓音)의 현대적 이해에 관한 연구
이전글 : 표상인식과 생멸심 하이데거와 원효의 비교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