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 ‘인식론’의 교육학적 함의 「판비량론」 8절을 중심으로 | |
저자 : 이치형 | ISBN : 1229-375X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발행년도 : 2012 |
간행물 : 도덕교육연구(道德敎育硏究) | 권·호 : 제(第) 24권 2號 / 2호 |
페이지 : 61-82 | |
첨부파일원효 ‘인식론’의 교육학적 함의.pdf |
|
소개 |
|
키워드인식론 메타프락시스 증자증분 자증분 본각 시각 교육 삶 epistemology metapraxis alaya-vijnana(阿賴耶識) Vijnaptimatrata(唯識學) the reality of awakening(本覺) the process of awakening(始覺) education |
|
목차〈요약〉Ⅰ. 서론 Ⅱ. ‘판비량론 8절’의 현대적 해석 Ⅲ. 칸트의 인식론과 원효의 ‘인식론’ 비교 Ⅳ. 원효 ‘인식론’의 교육학적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
초록이 글은 「판비량론」에 나타난 원효의 인식론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원효의 인식론이 교육이론을 메타프락시스적으로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결정적인 ‘논거’를 제시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여, 판비량론 제 8절(증자증분과 자증분 논쟁)을 통해 본각과 시각이 개념적으로 구분될 뿐 사실적으로 분리될 수 없음을 논리적으로 간접 증명했다고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프락시스적 논의가 요구하는 중층구조의 아이디어에서의 위층과 아래층의 ‘순환’이 필연적으로 요청되고, 교육(지식교육)이 삶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개념적으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곧 칸트의 이율배반론과 비교하여 원효의 삼지작법(논증식)에서의 논증과정이 갖는 의의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원효의 ‘인식론’으로 말미암아 교육이론으로서의 메타프락시스적 논의에 ‘힘’을 실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다음글 : 제3장 원효의 일심화쟁사상과 통불교논의 | |
이전글 : 의상(義湘)과 원효(元曉)의 관음신앙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