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원효의 평화사상에 관한 연구
저자 : 김강녕 ISBN : 1976-6254
발행기관 : 한국민족사상학회 발행년도 : 2012
간행물 : 권·호 : 민족사상 제6권 제1호 /
페이지 : 49-95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제2장 원효의 평화사상에 관한 연구.pdf
소개
키워드
원효, 평화 사상, 화쟁, 일심, 무애, 불교, Wonhyo, Peace Thought, Hwajaeng(Reconsiliation of Disputes), Ilsim(One Mind), Freedom from All Obstacles, Buddhism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원효의 일생과 주요저서 및 사상
III. 원효의 평화사상과 실현논리
IV. 원효의 평화사상의 현대적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글은 우리 역사상 가장 많은 불교저술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후대의 사람들에 그의 사상 특히 일심-화쟁-무애의 사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 있어서도 많은 존경을 받고 있는 승려인 원효대사의 평화사상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효의 일생과 주요저서 및 사상, 원효의 평화사상과 실현논리, 원효의 평화사상의 현대적 의미의 순서로 고찰한 후 결론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원효의 화쟁과 원융회통의 사상은 원효가 살았던 신라말기와 통일신라 초기뿐만 아니라 그 후 한국불교와 한국정신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질로 정착되었음은 물론 중국과 일본, 그리고 멀리 천축국(인도)에까지, 동아시아 전체에 통하는 보편사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화쟁에 바탕을 두고 있는 원효의 사상은 우리에게 세계평화와 관련된 주요문제들을 풀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 줄뿐만 아니라 오늘날 남북한 분단체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된 평화세계의 건설은 인아집과 법아집을 타파하고 6바라밀의 실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인아집의 타파는 정법(正法)에 의한 훈습을 통하여 자아의 주체성과 실재성에 대한 집착을 제거하여야 한다. 법아집의 타파는 예컨대 맹목적 신앙, 배타적 국가주의, 극단적 평등주의 등과 같은 삿된 집착의 대치(對治)를 말한다. 이 세상의 모든 모순과 대립은 무명(無明)과 불각(不覺)에 의해 발생하므로 무명의 성질과 그 퇴치방법을 이해시켜 깨달음(覺)으로 나아가게 될 때 조화와 통일, 상생(相生)과 평화의 길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화쟁(和諍)과 일심(一心)과 원융(圓融)을 강조하는 원효의 평화사상이 공업사상(共業思想)으로 널리 받아들여 질 때, 다 같이 잘 사는 원생의 공동체의 실현, 진정한 의미의 세계평화의 실현을 우리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평화세계의 건설은 욕망사회에서 소망사회 즉 범부의 수동적인 업생(業生)이 아니라 보살의 능동적인 원생(願生)이 충만한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며,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적 욕심(欲心)을 버리고 남도 생각하는 이타적 원심(願心)을 가진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들의 공동서원에 의해 평화실현이 점점 더 많이 구현되는 것임을 원효는 우리에게 잘 가르쳐주고 있다.
다음글 : 춘원 이광수론
이전글 : 원효사상의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