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원효불기(元曉不羈)」의 문화콘텐츠적 탐색
저자 : 이동근, 정호완 ISBN : 1975-5813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발행년도 : 2012
간행물 : 仙道文化(선도문화) 권·호 : 제12집 /
페이지 : 327-362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元曉不羈」의 문화콘텐츠적 탐색.pdf
소개
키워드
「원효불기」, 스토리텔링, 전시콘텐츠, 출생담, 득도담, 행적담, 사후담, Wonhyobulgi, Storytelling, Exhibit Content, Birth Narrative, Nirvana Narrative, Achievement Narrative, After Death Narrative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원효불기(元曉不羈)」의 스토리텔링
Ⅲ. 「원효불기(元曉不羈)」의 캐릭터적 성격과 콘텐츠
Ⅳ.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원효불기」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허다하나, 문학적 연구는 전기적 검토와 현장론적 검토를 시도한 2편에 불과하고, 문화콘텐츠적 접근은 본고가 최초의 시도라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원효불기」에 실려 있는 삽화를 원형화소로 삼아 스토리텔링 작업을 시도하였고, 이를 다시 디오라마 전시기법을 활용하여 전시콘텐츠적 기획의 한 사례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인 인물로서 원효는 和諍이라는 일심회통사상을 주창하여 왕실을 중심으로 하는 귀족불교의 벽을 허물어 대중불교 실천의 전위에 섰다. 구체적으로 임금의 부마라는 지위도 던지고 민초들의 아픔을 함께 하고자 대중불교를 몸소 실천하였다. 둘째, 「원효불기」에 보이는 삽화를 ① 출생담, ② 득도담, ③ 행적담, ④사후담으로 나누어 각각을 스토리텔링으로 재구성하였다. 출생에서부터 입적에 이르는 과정에서 고승대덕다운 신이성을 엿볼 수 있다. 셋째, 원효의 캐릭터적 성격으로 1) 신통적 캐릭터, 2) 무애적 캐릭터, 3) 성불적 캐릭터, 4) 사상가적 캐릭터 등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무애적 캐릭터의 대표적 화소인 「沒柯斧」 이야기를 디오라마 기법을 원용하여 일정 공간에 전시하는 콘텐츠로 실행 순서에 따라서 만들어 보았다. 이로써 전래 설화와 문학작품을 어떤 과정을 거쳐 문화콘텐츠로 만들어 관람자나 학습자에게 추체험을 통하여 전승과 더불어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가 하는 하나의 사례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사회를 문화제국시대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시대에 문학연구자가 할 역할은 이론적 연구에서 일보전진하여, 실용적 관점에서 그것을 어떻게 문화콘텐츠로 재창조시킬 것인가라는 점이다. 본고가 미력하나마 이러한 시대적 문화적 요구의 주춧돌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다음글 :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이전글 :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