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불교의 소통관 사의로절(思議路絶), 감응로통(感應路通)
저자 : 오창호(부경대학교) ISBN :
발행기관 :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발행년도 : 2018
간행물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제22권 제3호 권·호 : /
페이지 : pp. 73 - 109 (37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불교의 소통관.pdf
소개
키워드
#설득의 커뮤니케이션#화합의 커뮤니케이션#중로론#연기론#물속의 달#노모스#화쟁#persuasive communication#harmonious communication#the middle way theory#dependent arising theory#moon in the water#nomos#the harmonization of disputes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소통의 몇 가지 용법
3. 상징적 현실과 노모스(nomos)
4. 유위와 무위를 넘어서
5. 물속에 비친 달(水月)
6. 중도, 화의 원리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서양의 소통관에 대비되는 동양 소통관의 특징을 불교에서 찾아보는 것이다. 본 논문은 동양 소통관의 특징을 조화를 추구하는 것에서 구하고 이를 동일한 것을 추구하는 서양의 소통관과 대비시켰다. 서양의 소통관은 그것의 내용이 전달이든 공유든 근본적으로는 전달자와 수용자가 소통을 통해서 같은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을 추구한다. 반면 동양의 소통관은 서로 이질적인 존재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것을 추구한다. 그런 점에서 서양의 소통관이주로 설득의 소통이라고 한다면 동양의 소통관은 주로 화합의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은 화합의 원리를 불교의 중도론에서 구했다. 중도론은 불교의 핵심사상으로서 우리의 언어가 취할 수 있는 네 가지 선택, 즉 있다는 긍정, 없다는 부정, 있으면서 없다는 긍정과 부정, 있지 않으면서 없지 않다는 비긍정과 비부정이 모두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우리의 사유가 이를 수 없는 경지로 끌고 간다. 그런데 이렇게 사유가 끊긴 곳에서 보살은 중생의 고통을 공감하면서 이를 구제하고자 하는 대비심으로 중생의 근기에 따라 알맞은 방편을 사용한다. 그럼으로써 보살은 자신의 주장을 세우면서 스스로 버리고, 타인의 주장을 깨뜨리지 않는 바가 없으면서 도리어 인정하게 되어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융무애한 중도론에 따를때 논쟁은 그치게 되고 서로 화합하게 됨을 논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communication in the Buddhism as opposed to the western communication. This paper found out the features of oriental communication from those seeking harmony and compared it with those of western communication seeking the sameness. Western communicators seek to have the same meaning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whether its contents are transmitted or shared.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communicators pursue a way to live together, even though they are heterogeneous beings. In this sense, if western communicators mainly aim at persuasion, it can be said that oriental communicators have mainly aimed at harmon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found the principle of harmony in the middle way of Buddhism. By showing that the four choices a language can take, (1)positive, (2)negative, (3) positive and negative, (4)non positive and non-negative, can not be established, the middle way theory drives our thinking to a level where it can not reach. In the place where thinking is broken, Bodhisattva uses appropriate mean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living beings themselves by establishing their own claims, criticize others’ claims, and even recognize them, allowing them to speak freely. In accordance with this kind of middle way without any interruption, we argued that the debate would cease and be harmonious with each other.
다음글 : 원효와 정조의 철학적 비교
이전글 : A Hermeneutical Dialogue of Understa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