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건국신화의 불교 관음설화적 변용 연구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조와 「고주몽신화」를 자료로 하여-
저자 : 이보용(경기대학교) ISBN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발행년도 : 2020
간행물 : 語文學 第149輯 권·호 : /
페이지 : pp. 207 - 239 (33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건국신화의 불교 관음설화적 변용 연구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조와 「고주몽신화」를 자료로 하여-.pdf
소개
키워드
#불교설화#고승담#곡모신화#신모신화#생식력#신화소체계#Fertility#Fertility Myth#Motif#Motif System#Goseung-dam(高僧譚 Buddhist Hagiography)#Buddhist Folklore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고주몽신화」와 「관음설화」의 주요 신화소 대응 관계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글은 불교 관음설화를 중심으로 하는 신화의 지속과 변용을 통해 신화적 성격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관음을 친견하는 설화로 구체적인 예증을 들어서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의 원효가 만난 불교 관음설화를 중심에 두고 논의하고자 한다. 원효가 만난 관음설화에서는 다른 불교설화에서 볼 수 없는 신화적 윤색이 극심하고 신화소를 계승해 이를 불교설화적 전통에 맞게끔 변형하는 면모가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거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이야기를 승계하는 근거와 변형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주제이다.
원효의 문헌설화를 대상으로 여성신격이 가지고 있는 생식력 신화소의 지속과 변화 및 고대 신화와의 총체적 상관성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식력 신화소는 여신의 생식력을 나타내는 화소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신모신화 또는 곡모신화의 전형으로 파악되는 유화의 생식력을 준거로 하여 이 신화소가 후대의 불교 관음 설화에 어떻게 계승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불교 관음설화」속 관음의 생식력 관련 설화에서 화소를 모두 6개로 추출하고 이를 통해 유화신화의 연속적인 양상을 살폈다. 신화소가 대응하며, 신화소의 체계를 살피면서 이것이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달라진 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이 신화소는 고대의 건국신화적 의미를 가지면서 건국신화의 주인공을 탄생하게 하는데 결정적인 구실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원효설화에 이르러서는 특정한 관음보살의 생식력을 가진 이야기 요소로 바뀐 점을 찾아낼 수가 있었다. 그 결과 민중의 전승 의식 속에서 신화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중세불교적인 의미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바뀐 것을 규명할 수 있었다. 신화는 해체되면서, 불교 관음설화로 변형되었음이 실제적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이 이 논문에서 얻은 결과이다.

This article aims to deal with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the fertility mythology motif in the folktale Wonhyo. Fertility mythology is a motif that represents the reproductive power of a goddess. It tries to find out how this mythological institution was succeeded in the later generation of the ancient world by conforming to the fertility of Yuhwa(柳花), which is typically identified as the archetypes of the myths. This paper extracts a total of six motifs from Wonhyo"s Buddhist-related narrative and examines the successive aspects of the emulsifying myth. As the motifs responded and examined to form a system, the authors wanted to find out what had changed in the historical situat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motif had an ancient, mythical meaning and served a crucial role in creat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founding myth. In the Wonhyo legend, there is a point that it changed into a story element with the reproductive power of Avalokiteśvara(觀音菩薩).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transformation of the myth into a means for strengthening the medieval Buddhism, whereby the form of mythology was altered in the people"s consciousness. As the myth was de-constructed into a legend, this virtually confirms that myths are transformed into Go Seung-dam(高僧譚).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다음글 : ‘불교와 이광수’에서 ‘이광수의 불교’로
이전글 : 원효 글쓰기의 통불교(通佛敎)적 독창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