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한국 고대 동물희생의례의 특징 - 삼국시대 신라 분묘유적을 중심으로 -
저자 : 고은별(서울대학교) ISBN :
발행기관 : 대한체질인류학회 발행년도 : 2020
간행물 : 해부·생물인류학 제33권 제2호 권·호 : /
페이지 : pp. 69 - 77 (9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한국 고대 동물희생의례의 특징 - 삼국시대 신라 분묘유적을 중심으로 -.pdf
소개
경산 임당 유적 동물부장 및 동물희생의 성격과 특징에 대한 언급이 있음.
키워드
#Animal sacrifice rituals#Three Kingdoms Period#Silla#Tombs#Archaeology#동물희생의례#삼국시대#신라#분묘유적#고고학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간추림
초록
본 논문은 삼국시대 신라권역에 축조된 거대한 무덤인 고총고분에서 출토되는 동물유존체를 동물희생의례의 결과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신라시대 지배층의 무덤에서 어떻게 동물희생의례가 이루어졌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송의례가 본질적으로 다양한 의례 행위의 연속인 것과 마찬가지로 이 과정에서 행해진 동물희생의례 역시 단계별로 각각 다른 의미가 부여되었다. 따라서 그 위치에 따라 의례의 성격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여 각각 동물부장과 동물희생으로 구분하였다. 동물부장은 분묘 내부, 즉 주곽과 부곽 내부에 부장품으로 매납된 경우를 가리킨다. 이때는 조류, 어류, 패류, 포유류 등이 토기 등의 용기에 담겨 부장된다. 이처럼 동물부장의 맥락에서 출토되는 동물유존체는 음식으로 준비되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반드시 음식이나 식재료만 부장되는 것은 아니다. 동물희생은 死者와 일체의 부장품을 넣은 공간을 닫은 이후에 이루어진 의례행위로, 분묘 외부, 즉 개석 위나 봉토 또는 분묘 주변에서 확인된다. 이는 다시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먼저 용기류에 담겨 매납된 공물로, 이는 분묘 축조 과정이나 이후 제사 과정에서 행해진 의례에서 이용된 祭需 음식을 매납한 경우다. 이는 분묘 내부에 매납되는 부장품과는 구분되며, 음식물의 형태였을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은 희생된 제물이 매납된 경우로, 살아있는 존재의 목숨을 앗는다는 행위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이 동물들은 분묘 축조 과정 혹은 그 이후의 제사 과정에서 행해진 의례에서 희생되어 개석 위, 호석 주변, 인접한 독립매장유구 등 분묘 외부에 매납되는데 용기류에 담기지 않고 살아있을 때의 형태를 유지한 채 출토된다. 많이 알려진 말무덤이나 마갱이 이에 해당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way in which rituals involving animal sacrifice were undertaken at Silla elite tombs by approaching and analyzing animal remains excavated from the high-mounded tomb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the remnants of ritual practices. As with funerary practices, each step of an animal sacrifice ritual is also imbued with different meanings. Based on this premise, it is assumed that the different contexts of animal remains represent different forms of ritual practices; accordingly, ‘the deposition of animals as grave goods’ and ‘animal sacrifice rituals’ were distinguished. ‘Animal deposition as grave goods’ took place within the tomb (in either the main burial chamber or the auxiliary grave goods chamber), an involved the burial of birds, fish, shellfish, mammals, etc. that had been placed in ceramic and other containers. Such remains may represent the use of animals as foodstuffs (both prepared or as ingredients), but this may not necessarily have been the case. ‘Animal sacrifice ritual’, on the other hand, took place after the main burial chamber and the auxiliary grave goods chamber were sealed off, and its remains can be found outside the chambers, above the stones used to seal off the chambers, in and around the mound, and around the tomb. The remains of ‘animal sacrifice ritual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at which had been placed with containers, which are likely to represent ritual food offerings made during the process of tomb construction or the following funerary ceremony. These remain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ose found within the main burial chamber or the auxiliary grave goods chamber, are likely to have been in the form of edible dishes. Animal remains that are likely to represent ritual sacrifice, on the other hand, have been discovered above the stones used to seal off the tomb’s chambers, about the tomb’s protective stones, and in detached deposition pits; the animals retained the form of their living state and the absence of containers in notable. The well-known horse burials or horse deposition pits are an example of this.
다음글 :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의 양식 특징과 조성 배경
이전글 :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