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임진왜란기 崔文炳의 의병활동
저자 : 박순진 ISBN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발행년도 : 2020
간행물 : 東亞人文學 第52輯 권·호 : /
페이지 : pp. 315 - 359(45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임진왜란기 崔文炳의 의병활동.pdf
소개
키워드
#임진왜란 #최문병 #자인 #청도 두곡・선암전투 #영천성 탈환전투 #Imjin War #Choi Moon Byung #Jain#Cheongdo Dugok・Seonam Battle #Yeongcheonseong Recapture Battl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최문병의 가문과 사상적 경향
Ⅲ. 최문병의 의병활동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초록
임진왜란은 조선 사회를 뒤흔든 일대 사건이었다. 15만의 일본군은 부산에 상륙한 지 열흘도 되지 않아 경상도 일원을 점령하였고 그들이 점령한 곳마다 살육, 방화로 조선 백성들의 삶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피폐해졌다. 이러한 상황을 맞아 수령과 관군은 흩어지고 백성들은 피난처를 찾아 우왕좌왕 하던 긴급한 때에 경상좌도 경주부자인현 출신의 최문병(崔文炳)은 이른 시기에 왜적의 대규모 살육과 방화로부터 향민을 보호하고 향토를 방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는 경상좌도에서는 매우 이른 시기로서 순수하게 지방민들을 중심으로 군량과 무기를 독자적으로 조달하여 자발적인 군사체제를 갖추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당시 자인현은 지역적으로는 경주부의 최남단에 위치한 속현이었기 때문에 본읍(경주부)으로부터 전쟁의 상황이나 소식을 전달받을 수도 없이 고립되어 있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문병은 자신의 향리인 자인 지역 이외에도 인근의 청도, 영천, 군위, 경주지역 등에 걸쳐서 폭넓게 의병활동을 펼침으로써 경상좌도의 보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작은 고을인 자인에서 의병을 봉기하여 천여 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산악과 하천을 이용한 유격전을 전개하여 왜적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향토를 왜적으로부터 막아내는 등 커다란 전과를 올렸다. 최문병 의병진은 단순히 자인지역의 향토방위의 범위를 넘어 경상좌도의 의병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문병의 이와 같은 활동은 그 실상이 충분히 밝혀져 있지 않다. 최문병의 의병활동은 임란초기의 경상좌도 의병활동에 있어서 상당한 비중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단편적으로 다루는데 그친 이유는 한정된 사료로 인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쉽지 않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경상좌도 의병의 한 축을 담당하였던 자인현 최문병 의병진의 조직과 활동을 살펴 경상좌도 의병연구를 충실히 하고, 자인 의병이 壬辰倭亂史에서 갖는 의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경상좌도의 경우 최문병과 같은 중소규모의 의병장들의 피나는 노력이 축적되어 영천성의 탈환 등의 전과를 거두었고 적의 보급선과 통신망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최문병은 향리인 자인지역의 방위 뿐만 아니라 그 활동범위를 넓혀 나가 마침내 의병연합전선을 구축하고 청도의 두곡전투, 선암전투 그리고 영천성 탈환전투 등에 참여함으로써 임란 직후 경상좌도의 긴급 상황을 타개해 나간 점은 주목된다. 그러므로 관군의 재정비 기간을 거치면서 의병-관군 연합의 결과에 이르기까지 임란초기의 혼란상을 극복하기 위한 그의 의병활동을 살피는 연구는 경상좌도 의병사에 있어서 그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다음글 : Pak Chonghong’s Philosophical Analysis of Korean Buddhism and His Steps Towards Establishing an Eastern Philosophy
이전글 : W&nhyos Conception of Buddha-nature in the Thematic Essential of the Mah2parinirv2na-S^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