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원효 화쟁론과 인성교육
저자 : 김태수(대진대학교) ISBN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발행년도 : 2023.09
간행물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제97집 권·호 : /
페이지 : 97 - 130 (34page)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원효 화쟁론과 인성교육.pdf
소개
키워드
#화쟁론
#인성교육
#연기
#중도
#이해
#공감
#Theory of reconciliation
#Personality education
#Dependent origination
#Middle-way
#Understanding
#Empathy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화쟁 방식과 인성교육 문제: 연기, 이제, 삼성, 반야, 불성 논의에 나타난 열린 사유와 인성교육과의 연관성
Ⅲ. 화쟁적 인성교육의 조건과 특성
Ⅳ. 원효의 중도적 교육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원효(元曉, 617~686) 화쟁론은 일심이라는 바탕에서 중생들을 이롭게 하는 이념의 실현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측면과 연계된다. 즉 일심이라는 문제로부터 분화된 진여/생멸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립적 견해를 공통의 해(解)로써 조화하는 화쟁론은 인성교육 분야에도 적용된다. 단 인성 논의를 존재론이 아닌 연기나 이제(二諦) 등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회통한다. 이로써 관점에 따라 그르면서도 맞거나, 맞지도 않고 그르지도 않을 수 있음이 모두 허용되는 열린 변증론의 특성을 나타낸다. 논의 전개 과정에서 핵심적인 화쟁교육 요소로는 이해와 소통 및 공감 등을 들 수 있다. 연기적, 조건적 이해가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지적 조건이라면, 공감, 자기성찰, 인정, 수용 등은 정서적 조건이다. 정서적 조건 함양을 위해서는 자신을 분별하고 집착하는 말나식의 전도된 경향에서 벗어날 것 등이 제시된다. 나아가 “동의하지 않기에 이치(理)에 위배 되지 않지만, 동의하지 않는 것도 아니기에, 정(情)에 어긋나지 않는다.”라는 중도적 방식으로 화쟁적 조건을 실천하는 교육방안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성교육관은 연기적 조건에 따른 배움, 즉 연기≡공≡중도, 의타기 실상≡원성실성이라는 이해에 바탕한 교육관이다. 이로써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중도 교육을 지향한다. 이는 중생심과 다르지 않은 일심, 붓다와 다르지 않은 중생이라는 평등심에 따라 각자의 특이성과 일의성을 계발하면서 차별 없는 소통을 지향하는 평등일미의 중도 교육관이라고 할 수 있다.

Wonhyo (元曉, 617~686)’s theory of reconciliation is related to the educational aspect, as it realizes the idea of benefiting all people based on the concept of one-mind. In other words, the theory of reconciliation, which harmonizes opposing viewpoints into a common solu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ate of suchness and that of arising and ceasing-differentiated from the problem of one-mind-is also applied to the field of personality education. However, the discussion of personality is approached not from an ontological standpoint, but from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considering concepts like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two truths theory. This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an open dialectic that accommodates ‘both right and wrong’, as well as ‘neither right nor wrong’, contingent upon one’s perspective. If co-dependent and conditional understanding serves as an intellectual foundation for problem-solving through communication, empathy, self-reflection, recognition and acceptance form the emotional underpinnings. To foster these conditions, a proposal suggests detaching oneself and moving away from the inverted inclination towards manas-driven obsession. Furthermore, it proposes an educational plan that embraces reconciliation conditions in a balanced manner, articulated as ‘It neither violates principle by agreement, nor emotion by disagreement.’ This view of personality education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according to conditions, that is, the condi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 emptiness ≡ middle, and the condition of true nature of interdependence ≡ the perfect nature. In this way, we aim for middle-way education that constantly creates new meanings. This can be described as a perspective on middle-way education that promotes equality and unity. It aims for non-discriminatory communication while fostering each individual’s uniqueness and univocity.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one mind, which is no different from the mind of all sentient beings, and the equal mind, which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Buddha.
다음글 : 북(北)에서의 원효 화쟁사상 연구 -한명환『조선철학전사』(2)(사회과학출판사, 2010)를 중심으로
이전글 : 인도 정토사상의 한국적 수용 - 원효의 『무량수경』 삼배(三輩) 이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