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인도 정토사상의 한국적 수용 - 원효의 『무량수경』 삼배(三輩) 이해를 중심으로
저자 : 김호성 (동국대학교) ISBN :
발행기관 : 남아시아연구 발행년도 : 2022.11
간행물 : 남아시아연구 제28권 제3호 권·호 : /
페이지 : 1 - 27 (27page)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인도 정토사상의 한국적 수용 - 원효의 『무량수경』 삼배(三輩) 이해를 중심으로.pdf
소개
키워드
#『대아미타경』
#『무량수경』
#『여래회』
#범본
#삼배
#원효
#Da amituo jing
#Wuliangshou jing
#Sanskrit Version
#Wuliangshou rulai hui
#Three grades of aspirants
#Wonhyo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삼배설로 보는 인도의 정토사상
Ⅲ. 원효의 삼배 이해에 대한 비평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논문은 두 가지 작업 위에 이루어진다. 첫째는 동아시아에서 널리 성행한 정토사상 내지 정토신앙의 ‘인도적’ 기원을 『무량수경』의 역본들을 시간적으로 고찰해 보면서 파악한다. 둘째는 그러한 ‘인도적’ 기원을 염두에 두면서 중국에서 한문으로 이루어진 『무량수경』에 대해서 한국불교사에서는 어떻게 주석하고 이해했는가 하는 점을 원효의 경우를 중심으로 재평가한다. ‘인도적’ 기원의 모습과 ‘한국적’ 해석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필자는 ‘한국적 수용’으로 보려는 것이다.
물론 방대한 『무량수경』의 내용 전체를 다 살펴볼 수는 없다. 원효가 극락왕생의 원인을 설하는 것으로 파악한 삼배(三輩)에 대한 교설로 그 범위는 제한된다. 최고(最古)의 『대아미타경』, 동아시아에서 가장 널리 읽혀온 『무량수경』, 인도에서 복수로 존재했을 것이지만 현재에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산스끄리뜨본(범본), 그리고 범본과 좀 더 내용적으로 가까운 『대보적경 무량수여래회』에서 각기 삼배를 어떻게 설하는지 살펴본다.
그런 뒤 원효의 삼배 해석을 살펴본다. ‘인도의’ 삼배사상과 ‘한국의’ 삼배 이해 사이의 차이는 주로 원효가 표의문자인 한문으로 번역된 경전을 읽었으며, 범본을 읽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글을 통하여, 필자는 범본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범본을 참조해 볼 때, 『무량수경』을 이해함에 있어서 원효의 해석만을 전적으로 신뢰할 것이 아니라 범본과 한역들의 대조를 통하여 그 의미를 새롭게 확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인도의 정토사상을 한국불교가 새롭게 ‘재수용’해 가는 과정이 될 것이다.

This paper can be established on two works. One is to grasp the ‘Indian’ origin of the Pure Land Thought which has been believed in Eastern Asia through investigating 4 different Versions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sūtra. The other is to re-evaluate Wonhyo’s analysis and understanding on the Chinese Version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sūtra depending on the ‘Indian’ origin and its development. The difference between ‘Indian’ origin and ‘Korean’ interpretation will be ‘Korean’ acceptance of it.
Of course, I can’t consider the all contents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sūtra. So, I can’t but focus on the theory of the three grades of aspirants. I survey the theory of the three grades of aspirants in the oldest Da amituo jing, Wuliangshou jing which has been broadly read in Eastern Asia, the only one Sanskrit Version, and Wuliangshou rulai hui.
After that, I re-evaluate Wonhyo’s interpretation on the grades of aspirants. The difference between ‘Indian’ thought of the three grades of aspirants and ‘Korean’ understanding of it was caused from the Chinese Version which Wonhyo read and interpreted. By this study, I could confirm not only the importance of Sanskrit Version but also the necessity of ‘re-acceptance’ of the Larger Sukhāvatīvyūha-sūtra via the contrast between Sanskrit Version and Chinese Version.
다음글 : 원효 화쟁론과 인성교육
이전글 : 원효와 원측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 - 『대혜도경종요』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분석에 기초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