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원효와 원측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 - 『대혜도경종요』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분석에 기초하여-
저자 : 이민성 (독일 보훔대학교) ISBN :
발행기관 : 한국종교 발행년도 : 2023.02
간행물 : 한국종교 제54집 권·호 : /
페이지 : 241 - 263 (23page)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원효와 원측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 - 『대혜도경종요』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분석에 기초하여-.pdf
소개
키워드
#원효
#원측
#규기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
#측천무후
#Wŏnhyo
#Wŏnch’ŭk
#Kuiji
#Taehyedogyŏng chongyo(大慧度經宗要)
#Wu Zetia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원효와 원측의 관계 가능성을 나타내는 디지털 분석 지표
Ⅲ. 역사적 배경을 통해 본 원측과 규기, 그리고 원효
Ⅳ. 규기의 주장, 그리고 원효와 원측의 동일한 견해
Ⅴ. 결론
Abstract
참고 문헌
초록
본 연구는 신라 승려 원효(元曉, 617-686)와 원측(圓測, 613-696)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필자는 디지털 분석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문헌 내용에 기반하여 둘의 관계에 대해 합리적 의심이 드는 부분이 있는 까닭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첫째, CBETA와 SAT를 이용하여 원효의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 내 주요 논쟁의 핵심 단어를 검색한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이 결과는 원효와 원측이 상당히 유사한 주제에 관심이 있었다는 거시적 지표를 나타낸다.
둘째, 규기(窺基, 632-682)와 원측이 거처하던 자은사(慈恩寺)과 서명사(西明寺)가 건립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 봄으로써 이들의 갈등을 조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부인(고종의 후궁, 훗날 측천무후)의 개입이 논의된다. 그리고 이것이 원효에게까지 미친 영향을 유추해본다.
셋째, [이 역사적 배경과 연관성이 있는] 『대혜도경종요』 내에서 원효가 규기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피력한 부분과 더불어 특정 주제에 대해 원측과 같은 주장을 했다는 것을 밝힌다. 특히 교판 해석에서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한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원효와 원측이 직접적으로 만나지는 않았지만, 간접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article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ŏnhyo ( , 617-686) and Wŏnch’ŭk ( , 613-696). 元曉 圓測 Based on digital analysis using the CBETA database and SAT program, as well as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ir texts, the paper raises reasonable doub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uddhist scholars and proposes a new approach.
First, using the CBETA and SAT program, the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search for key words related to major debates in Wŏnhyo"s Taehyedogyŏng chongyo 大慧度經宗要. These results provide macro indicators that Wŏnhyo and Wŏnch’ŭk were interested in similar subjects.
Second, the paper sheds light on the conflict between Kuiji (窺基, 632-682) and Wŏnch‘ŭk by explo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Temple Ci’en and Temple Ximing, where both scholars resided. Specifically, the involvement of Wu (the concubine of Emperor Gaozong, who later became Empress Wu Zetian) is discussed. Additionally, the paper considers how the conflict may have influenced Wŏnhyo.
Third, it reveals that within Taehyedogyŏng chongyo, which is related to this historical background, Wŏnhyo made the same argument as Wŏnch’ŭk on a specific subject, along with expressing a critical opinion about Kuiji’s view.
Based on these results, although Wŏnhyo and Wŏnch’ŭk may not have met directly, the paper suggests a high possibility of indirect influence between them.
다음글 : 인도 정토사상의 한국적 수용 - 원효의 『무량수경』 삼배(三輩) 이해를 중심으로
이전글 : 원효 저작의 성립 순서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