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Text as nanjang [marketplace]: A Dialogic Reading of Jesus’ Parable (Luke 16:1-9) with M. Bakhtin, Wõnhyo and Ch’oe Che-u.
저자 : Cheong, Chong-Seong(Baeksuk University) ISBN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발행년도 : 2019
간행물 : 신약논단 제26권 제4호 권·호 : /
페이지 : pp. 943 - 980 (38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Text as nanjang [marketplace] A Dialogic Reading of Jesus’ Parable (Luke 161-9) with M. Bakhtin, Wõnhyo and Ch’oe Che-u.pdf
소개
키워드
#Dialogic Reading#Text#Nanjang#Jesus’ Parable#Gospel of Luke#Bakhtin#Wõnhyo#Ch’oe Che-u#대화적 읽기#텍스트#난장#예수의 비유#누가복음#바흐친#원효#최제우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Text and “Interpretive Community”
II. What is a Dialogic Reading
III. Dialogic Reading of Jesus’ Story (Luke 16:1-9)
V. Conclusion
Bibliogaphy
초록
초록
성서가 다른 신앙을 가진 사람들의 시각을 통해 읽혀진다면 과연 어떤 유익이 있을까. 대화적 성서해석은 타인의 시각으로 우리 자신들을 보게 함으로써, 적어도 우리 자신과 우리의 신앙전통을 좀 더 분명하게 바라보며 좀 더 핵심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촉진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현대사회의 간종교적 역동성을 발견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만 있다면, 성서가 오늘날 우리들에게 어떻게 기능해야 하는지를 더욱 진지하게 고민해볼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누가복음 16장의 지혜로운 청지기 비유 가운데 최고의 해석 난이도에 속하는 청지기의 빚탕감 행위가 던지는 의미를 확장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대화주의라는 실험적 방법론을 도입하고 있다. 주석적 이해를 바탕으로, 빚탕감 행위가 가지는 사회적 함의와 다중성에 대하여, 내려감, 재분배, 화해라는 분석 틀을 적용하여 대화를 진행한다. 이 대화는 간종교적 역동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주의, 원효의 화쟁철학과 언어관, 그리고 수운 최제우의 포월적(包越的) 신관을 동시적으로 해석공동체에 포함하여 진행한다. 이 실험은 본문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 위한 독서전략으로서, 본문과 매우 이질적인 간종교적 본문을 병치함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시끌벅적한 난장을 마련하여 본문의 본질적 혹은 사회적 함의를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 대화적 난장이라는 기제는 도발적이고 충격적인 목소리마저 여과없이 유입되게 한다. 무엇보다 종교적 언어나 개념에 집착하여 갖게 되는 그릇된 환상을 벗겨냄으로서 실체적 진리가 무엇인지를 드러내며, 그 과정에서 스스로를 개방하고 서로를 받아주며 포용하도록 촉구한다. 이러한 대화는 결국 인간이 신에게 포섭되기는 하지만 결코 종속되지는 않는다는 통논리를 통해 난장의 역동성을 극대화한다. 청지기의 빚탕감이 갖는 의미를 다양한 차원의 목소리로 듣는 카니발적 난장은 주인의 칭찬을 정점으로 해서 내려감, 나눔, 사귐의 역동성을 통해 거룩성을 가장한 마스크, 특히 종교적 언어에 집착하는 부당한 전통의 속살을 드러낸다.

The Bible can be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 faith traditions, because interfaith interpretation looks at ourselves as others see us, so that we may be able to see ourselves more clearly. The Biblical text is the product of complex interaction among many different cultures, so discovering of the intra textual dynamics will open new horizons to see how the Bible functions today. In order to expand the interpretive community of reading the steward’s debt-reduction in Jesus’ parable, this work adopts multiple perspectives of M. Bakhtin’s dialogism, Wõnhyo’s hwajaeng philosophy, and Ch’oe Che-u’s subsumed-transcendental thoughts on Hanullim (God). They are invited to bring their unique questions in this reading process, questions that may not be heard of before, whereby a transactional nanjang (亂場) can take place. Nanjang, an open place as the medieval marketplace, allows multiple voices to be boisterously mixed up and chattered in a mess without restraint. Here, Wõnhyo’s hwajaeng characterizes its ultimate task for the resolution of discrepancies to be undertaken, trying to reveal the truth by cutting off any conceptual hallucination resorting to the words. Bakhtin’s carnivalesque concept of nanjang is to open, accept and embrace one another in equality. Ch’oe Che-u’s thought that humans are subsumed by God but nevertheless not subordinated, further energizes dynamics of nanjang in terms of the logic of “opposition-coincidence” among the figures of master, steward, peasant debtors, Pharisees, older son and younger brother, and father; all of them are in diverse ways speaking ou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steward’s debt-reduction in relation to relocation, redistribution and reconciliation. Revolving around the master’s commendation, dynamics of nanjang successfully peels off all disguise in the sacral, particularly illegitimate attachment to possession. Falsity and avarice, ambushed under the dominant language, rigorously turned inside out and lampooned. Divinity and humanity are not disparate to each other, though not one; subsumed but not subordinated.
다음글 : A Hermeneutical Dialogue of Understanding
이전글 : Understanding of the 21 Letters Incantation of Tonghak and the Lord’s Prayer, in View of Wŏnhyo’s Hwajaeng Philosophy on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