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차자표기법 ‘역상불역하譯上不譯下’의 생성 과정과 생성의 주체
저자 : 백두현 (경북대학교) ISBN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발행년도 : 2023.12
간행물 : 목간과문자 제31호 권·호 : 1 /
페이지 : 73 - 100 (28page)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차자표기법 ‘역상불역하譯上不譯下’의 생성 과정과 생성의 주체.pdf
소개
목차
국문초록
I. 연구 목적
II. 훈독법의 발달과 역상불역하의 생성
III. 역상불역하의 생성 주체와 배경
IV. 요약과 해석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중국 한문자 수용과 발전에 있어서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 시기적으로 뒤처졌다. 그러나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에서 볼 수 없는 독창적 차자표기법을 창안했다. 앞글자는 훈으로 읽고, 뒷글자는 음으로 읽는 역상불역하(譯上不譯下)라는 차자법이 바로 그것이다. ‘譯上不譯下’라는 표현은 『삼국유사』 제4권 「원종흥법 염촉멸신(原宗興法猒髑滅身)」 기사에 처음 보이는데 ‘猒髑’(염촉)의 앞글자는 번역하고 뒷글자는 번역하지 않음을 뜻한다. 두 글자 이상의 차자 표기에서 한자의 훈(뜻)이 중심[主]이 되고, 음이 뒤따름[從]을 뜻하는 훈주음종(訓主音從)과 역상불역하는 그 본질이 유사하다. ‘역상불역하’라는 표현이 신라 당대 자료에 나타난 것은 아니지만 향가와 이두문 등의 표기에 이용되었다.
신라 사람들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표기 수단으로 이용하였고, 여기에 창의적 변용을 더하였다. 이 과정(process)을 <학습⇒내면화⇒창의적 변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한 차자법을 만들고, 신라어 표현에 가장 적합한 ‘역상불역하’의 방법을 창안해 냈다. 한문자의 학습과 내면화 그리고 창의적으로 변용한 작업에는 이것을 행한 행위 주체가 있게 마련이다. 7세기 중반~8세기에 신라의 학승 음의가(音義家, 원측·순경 등) 수십 명이 활동하였다. 이들은 화엄경 등 여러 불경에 음과 뜻을 풀이한 주석을 달았다. 이 작업은 불경의 한문을 신라말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석의 상당 부분은 한자, 한문구, 한자음에 대한 풀이[釋名]이다. 비문과 목간문을 작성한 문척(文尺)도 이두문의 발달에 일정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유교 경서를 공부한 유학자를 대표하는 인물은 설총과 강수이다. 설총은 경서를 신라어로 풀이함으로써 유학 공부는 물론 구결의 발전에 기여했다. 화랑은 경서를 학습하고, 향가를 짓고 부름으로써 차자법 발달에 일정한 역할을 했다. 화랑도 교육은 백제와 고구려에 없는 신라 특유의 청년 교육 제도였고, 향가 역시 신라 특유의 것이다. 역상불역하의 차자표기법도 신라 특유의 것이니 지도자로서의 승려, 교육생으로서의 화랑, 이들이 지어 부른 향가, 향가를 표기하기 위한 역상불역하의 원리는 서로 밀접한 상관성을 맺으며, 차차표기법 발달의 배경이 되었다.

Silla lagged behind Goguryeo and Baekje i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Silla’s adop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led to the creation of a unique system of writing not found in Goguryeo and Baekje. This is the method known as Translate Leading Kanj not Translate Trailing Kanji(譯上不譯下), abbreviated term: TLK-nTLK), where the first character is read as hun(訓=meaning) and the second character is read as yin(音=sound). The phrase “譯上不譯下” first appeared in the article 「原宗興法猒髑滅身」 in Volume 4 of 『三國遺事』.
The Silla people borrowed the Chinese yin(音) and hun(訓) and used them in a way unique to Silla, adding creative variations to them. This process can be summarised as 〈learning⇒internalization⇒creati ve transformation〉. By accepting the yin(音) and hun(訓) of Chinese characters and internalizing them, they created the most suitable script for Silla expression. The learning, internalization,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must have had actors who performed them. There were dozens of Silla’s annotator monks(圓測=Won-cheuk, 順璟=Sun-gyeong, etc.) who were active in the mid-seventh to eighth centuries. They annotated various Buddhist texts, such as the Hwaehum Sutra, by attaching sounds and meanings to them. This was do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Korean text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Silla. A large part of the annotations are explanations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phrases, and Chinese sounds. These authors are called “yin yi monk”(音義家 學僧).
The 文尺, who wrote stele inscriptions and woodcuts to record events, may have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Idu-sentence(吏讀文). Seol-chong(薛聰) and Kang-su(强首) are representative of scholars who studied Confucian texts. Seol-chong may have contributed to the internaliz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Gugyeol(口訣) by translating the texts into Silla. Hwarang(花郞) would have made his own contribution by learning the scriptures and building or singing Hyangga(鄕歌). Hwarangdo education was a youth education system unique to Silla that did not exist in Baekje(百濟) and Goguryeo(高句麗), and Hyangga(鄕歌) was also unique to Silla. The TLK-nTLK notation method is also unique to Silla, so monks as leaders, Hwarangs as trainees, the Hyangga they sang, and the TLK-nTLK principle for notating Hyangg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borrowing method(漢字借字法).
다음글 : 『三國史記』 열전에 보이는 金富軾의 文章家 인식
이전글 : [선비 정신의 미학 75] 이 땅에 유학의 씨앗 뿌린 홍유후(弘儒侯) 설총 이두SUB(吏讀)SUB로 경전 풀이하고 가르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