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경산 소월리 목간의 내용과 성격
저자 : 홍승우 (경북대학교) ISBN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발행년도 : 2021
간행물 : 동서인문 제16호 권·호 : /
페이지 : pp. 27 - 62(36 pages)
첨부파일
첨부아이콘 경산 소월리 목간의 내용과 성격.pdf
소개
키워드
#경산 소월리 #목간 #전답 #결부 #호적 #Sowol-ri Site in Gyeongsan #Wooden Tablet #Paddy Field #GyeolBu #Family Register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판독과 내용
3. 성격과 작성 목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논문은 경산 소월리 유적 출토 신라 목간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새로운 판독을 통해 그 서식과 내용을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목간의 성격과 작성 목적에 대한 단서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간은 기본적으로 ‘지형(+上·下)+田·畓+숫자(+結·負)’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전답의 위치와 면적을 정리한 장부이다. 또 ‘得’과 ‘買’자를 통해 전답의 변동 사항도 정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 호적류 문서에서 토지에 대한 정보를 발췌하여 정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목간을 통해 신라가 농지들의 구체적 위치와 면적을 철저히 파악하고 관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재된 전답의 면적을 고려할 때, 촌 이상 행정단위 전체 전답의 집계 장부로 보기는 힘들며, 어떠한 가호나 관청 등의 기구에서 보유한 혹은 관리하는 전답의 위치와 면적을 정리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그 형상을 볼 때, 조세 수취 등을 위한 공적인 정식 장부라기보다는, 해당 전답을 경작하거나 관리하는 데 활용하기 위한 임시 장부였을 가능성이 크다.
다음글 : 경산 소월리 유적 발굴조사 성과
이전글 : 「慈藏定律」에서 확인되는 慈藏의 최후기록에 대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