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훈민정음의 한 이해 |
저자 : 이현희 외 | |
발행일 : 2014-10-01 | |
출판사 : 역락 | |
청구기호 : 설 훈 0058 역 이 | |
ISBN : 97911-56686-085-3 | |
부제목 : | |
시리즈 : | |
소개『훈민정음의 한 이해』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강의 시간 중에 학생들이 나누어 검토하였던 내용들을 담고 있다. 제1부에서는 한문 원문의 가장 적합한 해석을 제시하고, 제2부에서는 해례본에 등장하는 개념어 105개를 대상으로 자세한 해설을 하였다. |
|
키워드인문 > 언어학/기호학 > 언어학일반 |
|
목차訓民正音 解例本의 제번역 검토와 새 번역안例義15 制字解37 初聲解140 中聲解148 終聲解161 合字解 182 用字例213 鄭麟趾序 232 訓民正音解例 개념어 001 가점(加點)257 002 가획(加?)257 003 각(角)259 004 거성(去聲)260 005 거이장(擧而壯)260 006 건(乾)261 007 고전(古篆)261 008 곤(坤)263 009 구장(口張)263 010 구축(口蹙)264 011 국어(國語)265 012 궁(宮)268 013 려(?)268 014 무극(無極)269 015 무점(無點)270 016 문여언잡용(文與諺雜用)271 017 문자(文字)272 018 반설음(半舌音)273 019 반설경음(半舌輕音)274 020 반치음(半齒音)274 021 방언(方言)275 022 벽(闢)277 023 변성(辨聲)278 024 병서(竝書) 280 025 복(復)281 026 부서(附書)282 027 불청불탁(不淸不濁)282 028 사계(四季)283 029 사성(四聲)283 030 사시(四時)284 031 삼극(三極)285 032 삼재(三才)285 033 상(商)287 034 상성(上聲)287 035 상형(象形)288 036 설근(舌根)291 037 설음(舌音)291 038 성불심불천(聲不深不淺)292 039 성서완(聲舒緩)292 040 성심(聲深)293 041 성음(成音)293 041 성음(成音)294 042 성음(聲音)294 043 성응(聲凝)295 044 성자(成字)296 045 성천(聲淺)296 046 순경음(脣輕音)297 047 순음(脣音)297 048 속습(俗習)298 049 아음(牙音)299 050 안이화(安而和)300 051 어음(語音)300 052 언어(諺語)301 053 여(?)302 054 연서(連書)304 055 오음(五音)304 056 오행(五行)305 057 완급(緩急)307 058 용자례(用字例)307 059 우(羽)308 060 우민(愚民)308 061 운서(韻書)309 062 율려(律呂)310 063 음양(陰陽)311 064 이기(二氣)312 065 이두(吏讀)313 066 이십팔자(二十八字)314 067 이어(俚語)314 068 이점(二點)316 069 일점(一點)317 070 입성(入聲)318 071 자모(字母)319 072 자운(字韻)320 073 재출(再出)320 074 전청(全淸)321 075 전탁(全濁)322 076 제자해(制字解)323 077 정음(正音)323 078 종성(終聲)324 079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325 080 종성해(終聲解)326 081 중성(中聲)326 082 중성해(中聲解)328 083 차청(次淸)329 084 천지인(天地人)330 085 청탁(淸濁)330 086 초발성(初發聲)331 087 초성(初聲)332 088 초성해(初聲解)334 089 초출(初出)334 090 촉급(促急)334 091 촉이색(促而塞)335 092 축(縮)337 093 치(徵)337 094 치음(齒音)338 095 칠조(七調)338 096 태극(太極)339 097 통용(通用)340 098 평성(平聲)340 099 합(闔)341 100 합용(合用)342 101 합용병서(合用竝書)343 102 합자해(合字解)344 103 화이거(和而擧)345 104 후음(喉音)346 105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347 참고문헌348 찾아보기3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