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염불 수행과 원효스님
저자 : 정목
발행일 : 2006-03-14
출판사 : 하늘북
청구기호 : 원 한 0054 하 정
ISBN : 89-90883-13-X
부제목 :
시리즈 :
소개
염불은 무거운 죄업을 싣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는 배이다. 염불은 일상 생활인이 닦을 수 있는 최상의 선행이며 지관을 일으켜 깨달음을 성취하는 선이다. 이 책에서는 원효스님의 염불의 근원과 그 흐르는 방향을 밝히고 있다. 또한 원효의 정토사상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목차
서문 / 4면
제1장 정토의 새벽, 원효
제1절원효의 생애
1. 원효의 전기 / 10
2. 밤나무골의 상서로움 / 12
3. 새벽이 되고자 출가하다 / 13
4. 원력 깊은 구도행 / 14
5. 마음 법을 깨닫다 / 16
6. 요석공주를 만난 인연 / 18
7. 《금강삼매경》을 강설한 대들보/ 21
8. 끝없는 보살행 / 25
9. 깨달음과 사상을 저술하다 / 28
10. 나무아미타불을 부르시오/ 30
11. 관상염불을 지도하다 / 35
12. 성사의 외로운 열반 / 39
13. 깨달음은 역사가 증명한다 / 40
14. 원효와 그 시대상황 / 43
제2절원효의 저술
1. 온전히 남아 있는 저술 / 51
2. 부분만 남아 있는 저술 / 56
제3절원효의 정토사상
1. 정토의 새벽을 열다 / 60
2. 일체 경계는 일심 / 63
3. 정토는 보리심의 꽃 / 63
4. 정토는 깨달음의 세계 / 65
5. 정토에 왕생하는 문 / 67
6. 원효의 염불관 / 70
제2장 신라시대 염불수행
제1절정토를 염원하여
1. 혜숙스님과 미타사/ 74
2. 광덕과 엄장의 염불수행 / 77
3.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79
4. 칭명염불의 공덕/ 84
5. 다섯 비구스님의 즉득왕생 / 85
제2절승속의 염불결사
1. 발징스님의 만일염불회 / 87
2. 계집종의 염불왕생 / 89
제3장 고려시대 염불수행
제1절산문의 염불수행
1. 염불수행 50년/ 94
2. 진억대사의 수정결사 / 95
3. 보조국사의 염불관 / 97
4. 원묘국사의 백련결사 / 115
5. 진각국사의 염불삼매 / 118
6. 일연국사의 공덕 / 120
제2절운묵무기의 실천철학
1. 무기의 인품 / 126
2. 선교관 / 127
3. 오시교 / 128
4. 정토와 염불법문 / 130
5. 불교의 윤리 / 131
제3절나옹선사의 염불법문
1. 선과 정토의 선지식 / 133
2. 완주가 / 134
3. 서왕가 / 135
4. 승원가 / 138
5. 염불인에게 보임 / 140
제4장 조선시대 염불수행
제1절함허선사의 정토사상
1. 함허와 염불향사 / 144
2. 아미타불을 찬탄함 / 145
3. 안락정토를 찬탄함 / 148
4. 아미타경을 찬탄함 / 151
5. 염불왕생 영가법어 / 155
제2절염불수행의 대중화
1. 서산대사의 염불관 / 159
2. 명연스님의 《염불보권문》 / 163
3. 현씨의 신심과 《염불보권문》/ 173
3. 강원의 간경과 염불 / 175
4. 진허스님의 《삼문직지》 / 180
5. 설법시 나무아미타불 제창/ 198
6. 계모임이 성행하다 / 199
제3절조선 후기의 염불부흥
1. 만일염불회의 부흥 / 203
2. 경허선사의 염불관 / 206
3. 만해스님, 가짜염불을 경고함/ 213
4. 통도사 양로염불만일회 / 215
5. 해인사 만일염불회 / 221
6. 참선, 교학, 염불의 삼문/ 223
7. 염불당 폐지와 염불부흥/ 225
제4절염불은 안심과 깨달음의 길 / 227
맺음말
끝없이 흐르는 염불의 강물 / 231
부록/ 불교 전래와 정토문
제1절불교 전래
1. 고구려의 불교전래 / 238
2. 백제의 불교전래 / 239
3. 신라의 불교전래 / 241
제2절한국의 종파 형성
1. 교학의 오종시대 / 245
2. 선종의 구산선문 / 247
3. 오교 양종시대 / 249
4. 선교 양종시대 / 251
5. 선교 통합시대 / 256
6. 대한불교 조계종 / 257
7. 경율론과 수행문 / 260
제3절정토문의 가르침
1. 근본 경전 / 263
2. 정토의 뜻/ 266
3. 아미타불의 뜻 / 269
4. 정토문의 근원 / 271
5. 정토문의 조사 / 275
6. 정토교의 지위 / 278
제4절정토문의 수용
1. 전통신앙의 이해 / 282
2. 정토문의 수용 배경 / 284
3. 정토문의 선지식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