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문학통사 1
저자 : 조동일
발행일 : 2005-03-01
출판사 : 지식산업사
청구기호 : 설 한 0031 지 조
ISBN : 89-423-4034-2
부제목 :
시리즈 :
소개
한국문학사 전반을 다각적으로 살펴본 <한국문학통사> 제4판. 1권에서는 문학사 이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면서 원시문학, 고대문학, 고대에서 중세로 넘어가는 이행기문학, 삼국ㆍ남북국시대의 문학, 고려 전기의 문학 등 원시문학에서 중세전기문학까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키워드
인문 > 문학론
인문 > 문학론 > 문학이론
국어/외국어 > 국어 > 국어학이론
목차
제4판 머리말 1―3
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1.1. 한국문학통사 1―15
1.2. 문학의 범위 1―19
1.3. 문학갈래 1―27
1.4. 시대구분 1―34
1.5. 생극론의 관점 1―44
2. 원시문학
2.1. 구석기시대의 언어예술 1―51
2.2. 신석기시대로의 전환 1―54
2.3. 민족 형성의 연원과 과정 1―59
3. 고대문학
3.1. 건국신화ㆍ국중대회ㆍ건국서사시 1―65
3.2. 고조선 1―70
3.3. 부여ㆍ고구려계 전승 1―76
3.4. 삼한ㆍ신라ㆍ가락 쪽의 사정 1―83
3.5. 탐라국 건국서사시 1―91
4.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4.1. 시대 설정의 근거 1―95
4.2. 전설ㆍ민담시대로의 전환 1―100
4.3. 짧은 노래 몇 편 1―104
5. 중세전기문학 제1기 삼국ㆍ남북국시대
5.1. 한문학의 등장과 그 구실 1―109
5.1.1. 한문 사용과 중세화 1―109
5.1.2. 나라의 위업을 알리는 금석문 1―118
5.1.3. 국내외의 정치문서 1―126
5.1.4. 이른 시기의 한시 1―130
5.2. 노래의 새로운 모습 1―135
5.2.1. 고구려 노래 1―135
5.2.2. 백제 노래 1―139
5.2.3. 신라 노래, 이른 시기의 모습 1―143
5.2.4. 향가ㆍ사뇌가 1―149
5.2.5. 향가의 율격 1―153
5.3. 향가의 작품세계 1―158
5.3.1. 민요 계통의 노래 1―158
5.3.2. 정치상황과 관련된 노래 1―164
5.3.3. 월명사와 충담사 1―170
5.3.4. 불교를 따른 노래 1―177
5.4. 불교문학에서 문제된 이치와 표현 1―183
5.4.1. 불교사와 문학사 1―183
5.4.2. 원효 1―187
5.4.3. 의상과 그 전후의 학승 1―192
5.4.4. 게송과 염불 1―197
5.4.5. 혜초의 기행문 1―202
5.5. 설화에 나타난 상하ㆍ남녀 관계 1―205
5.5.1. 신화적 상상의 유산 1―205
5.5.2. 고승의 신이한 행적 1―208
5.5.3. 영웅담의 성격 변화 1―215
5.5.4. 하층민의 소망과 시련 1―220
5.5.5. 설화의 정착과 변모 1―224
5.6. 연극의 자취를 찾아서 1―227
5.6.1. 중세의 굿ㆍ놀이ㆍ연극 1―227
5.6.2. 고구려ㆍ백제의 놀이와 연극 1―229
5.6.3. 신라 쪽의 상황과 처용극 1―233
5.6.4. 다섯 가지 놀이 1―237
5.7.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 1―242
5.7.1. 동아시아문학의 판도 1―242
5.7.2. 발해문학의 위치 1―244
5.7.3. 발해문학의 작품 1―247
5.7.4. 신라문학과 대외 관계 1―253
5.8. 신라 한문학의 성숙 1―259
5.8.1. 신문왕과 설총 1―259
5.8.2. 전성기에 이룬 작품 1―262
5.8.3. 말기의 상황과 왕거인 1―267
5.8.4. 최치원의 성공과 번민 1―270
5.8.5. 최광유ㆍ박인범ㆍ최승우ㆍ최언위 1―277
6. 중세전기문학 제2기 고려전기
6.1. 쟁패와 창업의 신화적 표현 1―285
6.1.1. 건국신화의 재현 1―285
6.1.2. 고려의 건국신화 1―289
6.1.3 왕실 혈통의 위기 1―296
6.2. 향가 전통의 행방 1―300
6.2.1. 고려전기의 향가 1―300
6.2.2. 균여의 <보현시원가> 1―302
6.2.3. 예종의 <도이장가> 및 관련 작품 1―309
6.2.4. 정서의 <정과정곡> 1―314
6.3. 과거제 실시와 한문학 1―318
6.3.1. 고려 한문학의 출발점 1―318
6.3.2. 과거제 실시 1―321
6.3.3. 조익ㆍ왕융ㆍ최승로 1―327
6.3.4. 현종ㆍ최충ㆍ박인량 1―332
6.3.5. 김황원 1―337
6.4. 불교문학의 재정립 1―341
6.4.1. 고려전기 불교의 판도 1―341
6.4.2. 균여와 제관 1―343
6.4.3. 의천 1―348
6.4.4 계응ㆍ혜소ㆍ탄연 1―352
6.5. 설화와 역사 사이 1―356
6.5.1. 민간전승의 저류 1―356
6.5.2. 화풍과 국풍 1―357
6.5.3. 비범한 인물의 탄생 1―360
6.5.4. <가락국기> 1―365
6.5.5. <수이전> 1―367
6.5.6. <삼국사기> 1―372
6.6. 고려전기 귀족문학의 결산 1―380
6.6.1. 예종 시절의 풍류 1―380
6.6.2. 동조자와 비판자 1―384
6.6.3. 격동의 와중에서 1―388
6.6.4. 김부식의 시대 1―397
6.6.5. 무신란 직전의 상황 1―401
6.6.6. 제주시인 고조기 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