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고대사연구의자료와 해석
저자 : 노태돈
발행일 : 2014-09-18
출판사 : 사계절
청구기호 : 설 한 0016 사 노
ISBN : 978-89-5828-788-9
부제목 :
시리즈 :
소개
반세기 한국 고대사 연구 성과의 총결산, 한국 고대사 연구의 모든 것!

우리나라 고대사 연구의 궁극적인 과제는 사료의 한계를 극복해서 역사의 참모습에 다가가는 데 있을 것이다. 사료의 한계는 상고(上古)로 올라갈수록 심각해, 한국 고대사 연구자들은 고조선에서 삼한에 이르는 역사 전개의 대강만이라도 알기 위해 고고 발굴의 성과에 주목하고 인접 학문의 일반론적 가설을 원용해서 사료를 재해석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고대사 연구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문헌 고증을 넘어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활성화되었고, 금석문과 목간 등 새로운 문자 자료의 발견으로 연구 내용이 심화되고 주제도 다변화되어 고대사 이해의 폭을 넓혔으며, 어느 정도 체계적인 인식도 가능해졌다. 또한 최근 학계 차원에서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 성과에 대한 정리와 평가가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한국 고대사 연구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향후 과제를 전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평생을 바치고, 고조선과 고구려 등 고대사의 대표 학자로 학계를 이끌어오고 수많은 후학들을 양성해낸 서울대 국사학과 노태돈 교수의 정년을 기념해 지난 반세기 한국 고대사 연구 성과를 총결산하고 있다. 또 그동안 집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방법론을 부단히 개발해 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한 국내외 58명의 고대사 연구자가 기존의 문헌 사료와 고고 자료를 새롭게 재해석하고, 새로운 자료를 발굴해서 연구 내용을 더욱 심화시켜 한국 고대사상을 다채롭게 구축해냈다.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 펴낸 이 책을 통해 지금의 한국 고대사 연구 과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고, 보다 거시적인 시각에서 한국 고대사 인식체계를 정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역사/문화
역사/문화 > 한국사 > 고중세사
목차
간행사

1부 문헌 사료의 새로운 해석
설화와 의례의 해석과 역사 읽기 _ 나희라
고구려 멸망론의 설화적 파생 _ 이강래
검모잠의 최초 거병지 검토 _ 이상훈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 기록의 원전(原典)과 활용 _ 전덕재
6세기 후반 신라의 대외관계와 대왜(對倭) 교섭 _ 이노우에 나오키
구법승과 신라 불교 _ 정병삼
혜초(慧超)와 『왕오천축국전』의 연구 _ 남동신
『해동고승전』-사료의 활용 현황 _ 신동하

2부 금석문 및 문자 자료의 분석
기원전 45년의 낙랑 호구부와 패수의 위치 비정 _ 마크 바잉턴
광개토왕비의 건립 과정 및 비문 구성에 대한 재검토 _ 임기환
왕자 복호(卜好)와 「광개토왕릉비」 명문(銘文): 초기 고구려-신라 관계에 대한 약간의 해석 _ 조나단 베스트
당으로 이주한 고구려 포로와 지배층에 대한 문헌과 묘지명의 기록 _ 김수진
『진서』 동이(東夷) 조공 기사(朝貢記事)의 재검토 _ 윤용구
양직공도의 사료적 가치와 독법 _ 강종훈
백제사 관련 신출토(新出土) 자료의 음미 _ 주보돈
「여신라왕김중희서(與新羅王金重熙書)」로 본 헌덕왕의 즉위 사정 _ 이문기

3부 고고 미술 자료의 활용
환런 왕장러우(望江樓) 적석총으로 본 주몽설화 _ 강현숙
평양도읍기 고구려 왕릉의 선정과 묘주(墓主) 비정 _ 강진원
지안(集安) 장군총의 분구에 관한 몇 가지 검토 _ 조영현
새로 발굴된 호남리 18호 벽화무덤에 대해 _ 박찬규·정경일
고구려 유적·유물로 본 한국 문화의 원형 _ 전호태
5~6세기 고구려 남진 경영의 고고학적 증거 _ 최종택
발굴에서 해석까지: 정지산 유적의 사례 _ 이한상
6세기 대 백제 기와를 보는 시각 _ 이병호
가야 제국(諸國)의 존재 형태와 부산 연산동 고분군의 정치적 성격: 묘제와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_ 김세기
신라 왕릉과 경주 괘릉(掛陵) _ 김복순
부거리 동경용원부설에 대한 재검토 _ 정영진
독일 바이에른 지역 신석기 말기 벨 비이커 문화의 어린이 무덤과 사회적 정체성 _ 김종일

Prince Pokho and the Kwanggaet’o Stele Inscription _ Jonathan W. Best
노태돈 교수 약력 및 연구 논저
필자·간행위원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