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패치워크문명 시대의 정치철학 공자와 세계3
저자 : 황태연
발행일 :
출판사 : 청계
청구기호 : 설 패 0002-3 청 황
ISBN : 978-89-6127-023-6
부제목 :
시리즈 :
소개
동아시아문명의 비전과 공자철학의 부활!

패치워크문명 시대의 공맹 정치철학 『공자와 세계. 3』제 1권 ‘공자의 지식철학’ (하). 공자사상을 ‘유교문명권’으로 통칭되는 동아시아문명권 및 세계사적 연관성의 관점에서 새롭게 재해석한 책이다. 2400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에 걸맞게 중국고대사, 공자의 철학과 평전, 동서문명교류사, 서양철학사, 사회경제사 및 정치사, 그리고 동서양 비교철학 등이 일관된 흐름 안에 포괄되어 있고 치밀하고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주석으로 뒷받침된다. 지은이는 백화점식 나열과 교과서적 정리가 아니라 새로운 이론적 지평을 모색하는 꼼꼼한 사유의 과정을 보여주면서 ‘패치워크문명’이라는 독창적인 신개념과 거대담론을 제기한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지은이는 책의 서론에서 오늘날의 동아시아를 ‘짜깁기문명’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다문화적 ‘짜깁기문명’을 용어에서부터 짜깁기 냄새를 풍기기 위해 영어 ‘패치워크’와 동아시아어 ‘문명’을 짜깁기한 ‘패치워크문명’으로 명명한다. 이 책은 저자가 주장하는 창조적 패치워크와 공자철학의 재해석 작업을 직접 시도하고 있으며, 그 작업이 매우 방대하고도 정교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 장점이다.
키워드
인문 > 철학 > 동양철학
역사/문화 > 역사/문화일반 > 문화사일반
역사/문화 > 역사/문화일반 > 주제별역사 > 문명사
목차
제4부 공자의 지식이론
제1장 공자의 ‘무지의 지’
제1절 공자의 ‘무지의 지’와 ‘호지자’
1.1. 복고주의에 대한 공자의 비판: 공자주의적 진보와 혁신
1.2. ‘무지의 지’: 무지와 전지 사이의 중간자적 지위
1.3. ‘지인’의 인지와 ‘지천’의 신지
1.4. ‘호지자’와 ‘낙지자’로서의 철인
제2절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지’와 ‘애지자’
2.1. ‘너 자신의 무지를 알라’
2.2. 중간자로서의 애지자
2.3. 신 개념에 대한 소고
2.4. 소크라테스의 인지와 신지
제3절 지식, 교육이론에서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차이
3.1.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지식이론적 대립성
3.2. 공자의 만민교육, 플라톤의 천재교육, 아리스토텔레스의 유한교육
제2장 인지적 지식과 신지적 지식: 지인과 지천
제1절 인지적 ‘지인’과 ‘지언’
1.1. 지인의 인지적 지식: 만학의 중심
1.2. 지인의 또 다른 통로: 지언
제2절 지인의 바른 방법: 경귀신이원지(敬鬼神而遠之)
2.1. 인지를 위한 경귀신이원지
2.2. 경험론적 인지론과 절대적 인지주의의 차이
제3절 <주역> 연구를 통한 공자의 ‘지천’
3.1. 신지를 위한 경귀신이근지(敬鬼神而近之)
3.2. <주역>과 지천
제4절 ‘지인’과 ‘지천’의 통합
4.1. 천인분리에서 천인상조로
4.2. 하학이상달의 통합
제5부 지천과 역학적 신지
제1장 공자의 중도역학과 구복론
제1절 공자의 시서와 덕행구복
1.1. 공자 자신의 시서에 대한 고증
1.2. 공자의 중도역학: 점서역학과 의리역학의 중도통합
제2절 대흉, 대과와 복서피흉
2.1. 덕행구복과 복서피흉의 결합
2.2. <주역>의 괘, 효사에서 요청되는 덕행론
제3절 ‘지성지도’로서의 시서와 ‘공자부점설’의 허구성
3.1. 국가의 공식 복서에 대한 공자의 강조
3.2. 공자의 신운을 점친 역괘들
제4절 지천, 순천, 낙천의 경지
4.1. 하늘을 두려워할 줄 아는 지천자
4.2. 하늘을 좋아하는 순천자
4.3. 성신으로 지천과 천성을 즐기며 하늘에 감사하는 낙천자
제5절 불가지적 천과 신에 대한 논변의 절제
5.1. 신과 천도에 대한 공자의 불가지론
5.2. 천명과 천성에 대한 논변의 절제
제2장 주역서지와 델피신탁의 비교
제1절 아테네 민주주의와 델피신탁의 역할
1.1. 주역서지와 델피신탁의 유사성과 차이성
1.2. 델피신탁에 대한 아테네 민주주의의 의존성
1.3. 델피신탁의 구체적 사례들
제2절 소크라테스, 플라톤철학에서의 덕행과 신탁의 관계
2.1. 소크라테스의 ‘공자의 길’: 덕행구복과 신탁피흉의 결합
2.2. 신들린 예지자 소크라테스의 ‘신명순도(神命殉道)’
2.3. 플라톤의 공식적 신탁 활용
2.4. 신에 대한 플라톤의 불가지론
제3절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과 델피신탁에 대한 무관심
3.1. 아리스토텔레스의 가지론적 신학
3.2. ‘인간적 지성의 신격화’와 신탁의 경시
3.3. 지성주의적 행복론과 비극적 종말
제3장 중국의 역학과 서구의 역학
제1절 의리역설과 주희의 비판
1.1. 왕필과 정이천의 의리역설
1.2. 주희의 중도역설
제2절 서구학자들의 주역관
2.1. 라이프니츠의 수비학적 <주역> 연구와 좌초
2.2. 리하르트 빌헬름과 칼 융의 중도역설
2.3. 서구 역학계의 최근 동향
제4장 한국의 전통적 주역관과 역대 국가의 시서 관행
제1절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주역관과 시서관행
1.1. 삼국시대의 역학과 <삼국유사>의 서례
1.2. 고려시대의 역학과 <고려사>의 여러 공식 서례들
제2절 조선시대의 주역관과 시서 기록
2.1. 태종, 세종 시대의 공식 서례와 기타 점례
2.2. 명종 시대 문과전시의 역학 문제와 율곡의 답안
2.3. 이순신 장군의 주역점 서례
제3절 실증역학과 현대국가
3.1. 실증역학의 방법
3.2. 현대의 과학주의적 지식국가와 신지의 문제
* 주석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