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사학사
저자 : 신승하
발행일 : 1996-09-16
출판사 : 고려대학교출판부
청구기호 : 설 중 0070 고 신
ISBN : 89-7641-390-3
부제목 :
시리즈 :
소개
중국역사가들이 역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또 서술했는지 갈파한 인문서. 중국사학사의 시대 구분과 특징을 비롯해 사의 의미와 사관 제도의 기원, 선진 시대의 사학, 진,한시대의 사학, 위,진, 남북조 시대의 사학, 송대의 사학, 근대 중국의 사학, 20세기 전기 중국의 신사학, 20세기 후기의 사학까지를 기술했다.
키워드
역사/문화
역사/문화 > 동양사 > 국가별 역사/문화
역사/문화 > 역사/문화일반 > 역사학이론/비평
목차
제1장 중국사학사의 시대 구분(時代區分)과 특징
1. 중국사학사의 시대 구분
2. 중국사학사의 특징
제2장 사(史)의 의미와 사관 제도의 기원
1. 사(史)와 "사(史)"자(字)의 의미
2. 역사 기록과 사관 제도의 기원
3. 정사(正史) : 24사(史), 25사
제3장 선진(先秦) 시대의 사학
1. 경학(經學)과 사학(史學)
2. 『상서(尙書)』와 『춘추(春秋)』
3. 『좌전(左傳)』과 『국어(國語)』
4. 『일주서(逸周書)』와 『세본(世本)』
5. 『죽서기년(竹書紀年)』과 『전국책(戰國策)』
6. 제자(諸子)의 역사관
7. 고대 전설의 기록 - 『산해경(山海經)』과
『초사(楚辭)』의 「천문(天問)」
제4장 진·한(秦·漢) 시대의 사학
1. 진·한의 사회와 사학
2. 사마천(司馬遷)의 사학 - 『사기(史記)』
3. 반고(班固)의 사학 - 『한서(漢書)』
4. 순열(荀悅)의 편년사 『한기(漢紀)』와
관찬 기전체 단대사 『동관한기(東觀漢記)』
5. 사회 경제와 수학의 사적(史籍) - 『염철론(鹽鐵論)』범승지서(汎勝之書)』
『풍속통의(風俗通義)』, 『구장산술(九章算術)』
제5장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의 사학
1. 사학의 발전
2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와
배송지(裵松之)의 『삼국지주(三國志注)』
3. 범엽(范燁)과 『후한서(後漢書)』
4. 심약(沈約)의 『송서(宋書)』와 위수의 『후위서(後魏書)』
최홍(崔鴻)의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5. 지방사와 역사 지리학
6. 보학(譜學)의 발전과 『고승전(高僧傳)』
7. 역사 평론의 시작 - 유협(劉 )의 『문심조룡(文心雕龍)』
『사전(史傳)』
8. 농업과 음식 생활사 연구의 자료 - 『제민요술(齊民要術)
제6장 수·당(隋·唐) 시대의 사학
1. 수·당 시대 사학의 특징
2. 사관(史館)의 설치와 역사 편찬제도의 확립
3. 당(唐) 중기 이후 정치 경제의 위기와 사학의 새로운 발전
4. 기거주(起居注)와 시정기(時政記), 실록(實錄)과
국사(國史)의 편찬
5. 8부 정사 - 『梁書』,『陳書』,『北齊書』,『周書』,
『隋書』,『晉書』,『南·北史』의 편찬
6. 유지기(劉知幾)의 『사통(史通)』
7. 제도사의 편찬 - 두우(杜佑)의 『통전(通典)』
8. 사회 발전의 반영으로 이루어진 전문 저서의 편찬
9. 유서(類書)의 편찬 - 『북당서초』,『예문류취』,『초학기』
제7장 송대(宋代)의 사학
1. 5대 시대의 사학과 실록,『구당서(舊唐書)』의 편찬
2. 송대 사학 발달의 원인과 그 내용
3. 『구·신오대사(舊新五代史)』와 『신당서(新唐書)』의 편찬
4. 사마광(司馬光)과 『자치통감(資治通鑑)』
5. 원추(圓樞)의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과
주희(朱熹)의 『통감강목(通鑑鋼目)』
6. 정초(鄭樵)의 『통지(通志)』
7. 오대십국사(五代十國史)의 편찬 - 『구국지(九國志)』
8. 지방지와 지리서의 편찬
9. 금석학(金石學)의 출현
10. 유서(類書)의 편찬
11. 회요체(會要體) 사서의 편찬
제8장 요·금·원(遼·金·元) 시대의 사학
1. 요·금·원 시대의 사학 개요
2. 송·요·금사의 편찬
3. 사찬(私撰) : 북방 민족사의 편찬
4. 마단임(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
5. 『경세대전(經世大典)』, 『원장전(元章典)』의 편찬
6. 통감학의 발전과 호삼성주(胡三省注)
7. 요·금·원인의 필기 문집
8. 지리서(地理書)와 유기(遊記)
9. 원대(元代)의 농업사(農業史), 농서(農書)의 간행
제9장 명대(明代)의 사학
1. 명대 사회와 사학
2. 사관 제도(史館制度)와 실록의 편찬
3. 『원사(元史)』의 편찬
4. 명대 후기 개인의 사서 편찬
5. 『영락대전(永樂大典)』과 『명회전(明會典)』의 편찬
6. 왕세정(王世貞)과 이지(李贄)의 사학
7. 방지(方志)와 경제사(經濟史)
8. 민간 사학(民間史學)의 잡자(雜史) 필기(筆記) 소설(小說)
9. 농업, 약학, 기술서의 편찬
제10장 청대(淸代)의 사학
1. 청초 사학의 신 기운과 좌초
2. 고염무(顧炎武)의 사학 - 『일지록(日知綠)』
3. 왕부지(王夫之)의 사학 - 『독통감론(讀通鑑論)』
4. 황종희(黃宗羲)의 사학과 절동 사학파
5. 장학성(章學誠)의 사학 - 『문사통의(文史通義)』
6. 건가(乾嘉) 시대의 역사 고증학(歷史考證學)
7. 최술(崔述)의 『고신록(考信綠)』
8. 『명사(明史)』의 편찬
9.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과 『사고전서(四庫全書)』의 편찬
제11장 근대 중국의 사학
1. 금문 경학의 대두와 상주학파(常州學派)
2. 공자진( 自珍)의 사학
3. 위원(魏源)의 사학
4. 변방지역의 역사와 지리 연구
5. 중국인의 외국 역사 소개
6. 선교사에 의한 외국사의 번역과 소개
7. 당대사의 저술 : 아편전쟁과 태평천국
8. 전통 사학에 대한 비판과 역사 진화론, 구사학과
신사학의 과도기 : 엄복(嚴復)과 강유위(康有爲)
제12장 20세기 전기 중국의 신사학(新史學)
1. 사학 혁명과 신사학 도입
2. 양계초(梁啓超)의 신사학
3. 신사학의 응용 : 장태염(章太炎)과 하증우(夏曾佑)의 사학
4. 복고 사조(史潮)와 서사 편찬
5. 역사 연구의 여러 경향 - 의고파, 신고파, 고고파, 석고파,
6. 사료학파(史料學派)의 사학
7. 신사료의 발견과 연구
8. 마르크스 사학의 전파, 응용과 확산
제13장 20세기 후기의 사학
1. 신『경전』학습과 연구가 없었던 시기
2. 오타홍화(五 紅花,1954~1975)
3. 사학혁명과 반우파 투쟁시기(1957~1965)
4. 문화대혁명 시기(1966~1976)
5. 제11기 3중전회의 실사구시와 6중전회의
역사문제에 관한 결의
6. 사학 연구의 새바람
7. 중국공산당사의 연구와 『당사연구(黨史硏究)』
8. 대만의 역사 연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