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역 매월당집1 |
저자 : 이영무 | |
발행일 : 1977-12-30 | |
출판사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
청구기호 : 원 국 0001-1 ㅅ ㅇ | |
ISBN : 89-8275-809-6 | |
부제목 : | |
시리즈 : 국역 매월당집 | |
소개국역『매월당집』제1권. <매월당집>은 매월당 김시습 선생의 시문과 그 밖의 저술들을 총 망라하여 한 책으로 묶은 것이다. 이 책은 성균관대학교 부설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영인한 <매월당전집>을 대본으로 삼아 1976년에 국역에 착수, 그 다음해인 1977년부터 발간하기 시작하여 1980년까지 5년 동안 완간한 전5집 중 첫번째 책이다. |
|
목차해제일러두기 매월당집 서 이 자(李?) 매월당집 서 이 산해(李山海) 매월당 선생 전 윤 춘년(尹春年) 김 시습 전 이 이(李珥) 매월당 시집 제1권 고풍(古風) 기행(紀行) 술회(述?) 매월당 시집 제2권 영사(詠史) 우리 나라의 옛일을 노래한다(泳東國故事) 옛을 생각한다 그때의 일(事) 궁전(宮殿) 능과사당 사람 사는 집에 쓴 것 사는 집() 한적한 것[?室] 보이는 경치 그대로 당우(堂宇) 성곽(城郭) 밭과 채마밭[田圃] 매월당 시집 제3권 선도(仙道) 석로(釋老) 숨어서 사는 일 절 구경 시절 매월당 시딥 제4권 꿈[夢] 낮과 밤(晝夜) 달[月] 비와 눈[雨雪] 바람과 구름[風雲] 산악(山岳) 강과 내(江河) 샘과 돌[泉石] 시내와 도랑[溪澗] 누각(樓閣) 정자 동산과 숲(園林) 잔치 자리서 술마시다 과실[菓實] 글씨와 그림[書畵] 문장(文章) 부녀(婦女) 문방(文房) 기용(器用) 등촉(燈燭) 매월당 시집 제5권 식물(食物) 술(酒) 차(茶) 새[禽] 짐승[獸] 벌레[?] 물고기[漁] 대나무[竹] 나무[木] 화초[花草] 매월당 시집 제6권 채(菜) 버섯 시를 지어 보내다 편지로 부쳐 보내다 심방(尋訪) 수답[酬答] 혜황[惠?] 송별(送別) 유상[遊賞] 제영(題詠) 매월당 시집 제7권 질병(疾病) 의약(醫藥) 슬피 조상하다 산에 있으면서 집구하다 조사[調詞] 악장[樂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