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공철학 이야기 |
저자 : 김태창 외 | |
발행일 : 2012-09-30 | |
출판사 : 모시는 사람들 | |
청구기호 : 원 공 0108 모 김 | |
ISBN : 978-89-97472-07-9 | |
부제목 : | |
시리즈 : 김태수 교수의 공공철학 하기 | |
소개한국의 철학자와 사상가들로 보는 공공철학공공철학자인 저자의 〈철학대화〉 가운데, ‘한국의 철학자/사상가’들을 일본인들에게 소개한 내용을 모아 엮어낸 책이다. 저자는 한국을 대표하는 고금의 사상가들을 전통적인 "한사상"과 현대적인 공공성"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재해석하여 소개한다. 특히 저자가 연구하고 있는 공공철학은 ‘성인’이나 ‘신’이 아닌 ‘시민’들이 스스로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시민사회에 걸맞은 21세기형 철학이다. 이 공공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전통시대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의 사상 자원을 ‘공공성’(公共性)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능력이 괄목할 만 하다. 더구나 이 키워드를 실제로 한-중-일에서 활동하는 학자, 운동가, 시민들과 얼굴을 맞대면서 대담하고 철학화하는 과정은 철학의 소통능력을 엿보게 해준다. |
|
키워드인문 > 철학 > 교양철학인문 > 철학 > 한국철학 |
|
목차책머리에제1장│원효 1. 묘에 상인이 경모한 두 명의 신라승 2. 풍류란 무엇인가 3. 원효는 해골의 물을 마셨는가? 4. 원효의 일대기 5. 원효의 화쟁회통론 6. 결론 제2장│화담 서경덕 1. 한·일의 대표적 가요에 깃들어 있는 서경덕의 한마음 2. 서경덕의 생애 3. 서경덕의 사상 4. 자득지묘의 민학인으로서의 서경덕 제3장│퇴계 이황 1. 에도일본에서의 이퇴계 2. 생애 3. 이퇴계의 사상 4. 결론 제4장│율곡 이이 1. 이율곡의 생애 2. 이율곡의 사상-이퇴계와의 대비에서 3. 결론 제5장│남명 조식 1. 남명 조식은 어떤 인물인가 2. 조식의 생애 3. 조식의 사상 4. 선비와 사무라이 5. 결론 제6장│ 하곡 정제두 1. 촌락교사 나카에토쥬 2. 하곡 정제두의 실심실학 제7장│다산 정약용 1. 현대 일본의『논어』붐과 히로세 단소 2. 다산의 생애 3. 다산의 사상 4. 신의 죽음이 아닌 천의 소생 제8장│혜강 최한기 1. 두 명의 기학자-최한기와 야마다 호코쿠 2. 최한기의 생애 3. 통의 사상 제9장│수운 최제우 1. 데모크라시에 부치는 노래 2. 최제우의 생애 3. 최제우의 사상운동 4. 최제우의 공공운동 5. 최제우는 살아 있다 제10장│증산 강일순 1. 지금 왜‘상생’을 말하는가? 2. 강증산의 생애 3. 해원상생의논리 제11장│정산 송규 1. 송정산의 생애 2. 삼동상화로부터 보은상생에로 제12장│다석 류영모 1. 흙과 함께 산 사람들 2. 다석의 생애 3. 다석의 사상 4. 결론 제13장│신천옹 함석헌 1. 인간은 생각하는 종이다 2. 함석헌의 생애 3. 함석헌의 사상 4. 씨?·전체·한 기록자 후기 : 지금의 일본에서 한철학과의 대화가 요구되고 있다 역자 후기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