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경전과 시대
저자 : 금장태
발행일 : 2012-03-27
출판사 : 지식과교양
청구기호 : 설 경 0057 지 금
ISBN : 978-89-94955-74-2
부제목 :
시리즈 :
소개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유교경전의 전파와 교육이 확산되어갔고,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와서는 경전의 이해가 깊어졌다. 곧 유교문화의 수준은 경전의 인식과 구현의 수준이라 할 수 있다. 과연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이 유교경전을 어떻게 시대현실 속에서 읽었고 어떻게 그 이해를 시대현실의 문제와 연결시켜 전개하였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을 통해 해명하고 싶은 주제이다. 그것은 경전해석의 주석학적 문제가 아니라, 경전이해의 시대사회적 활용이라는 문제를 의미한다.
키워드
인문 > 철학 > 한국철학
인문 > 철학 > 동양철학
목차
머리말

국역: 율곡 사서언해와 사서한글번역의 과제
1. 율곡 사서언해의 성격
2. 사서율곡언해의 저작 배경
3. 관본언해와 율곡언해의 양립과 활용
4. 사서언해에서 해석상의 문제와 쟁점
5. 사서 한글번역의 과제
6. 사서 한글번역에서 ‘언해’가 지닌 의미

율곡의 성학집요와대학체계의 확장
1. 성학집요의 성격
2. 성학집요의 저술동기와 구조
1) 성학집요의 저술동기
2) 성학집요의 구조
3. 성학의 사유기반과 신념
1) ‘성학’의 인식과 방법
2) ‘성학’의 이념과 ‘도통’의식
4. 인격실현의 방법과 과제-수기
1) ‘수기’의 방법과 절차
2) ‘수기’의 과제에 대한 분석
5. 성학의 사회적 실현과제
1) 사회의 기반으로서 가정-정가
2) 국가통치의 실현과제-위정
6. 성학집요의 의미와 특성

이휘일·이현일의홍범연의와 경학의 경세론적 확장
1. 홍범연의의 경학적 성격과 과제
2. 홍범편의 이해와 한국유교의 홍범편 인식
1) 홍범편의 연원과 경전간의 연관성
2) 한국유교의 홍범편 이해
3. 홍범연의의 편찬과정과 구성체계
1) 홍범연의의 저술동기와 편찬과정
2) ‘구주’의 구조인식과 홍범연의의 구성체계
4. 홍범연의에서 황극의 건립과 실현
1) ‘황극’ 건립의 4범주
2) 황극의 인식
3) 황극 실현의 4범주
5. 홍범연의체제의 특성과 경세론적 의미

중암 김평묵의경학과 경세론적 인식
1. 김평묵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문제
2. 경전이해의 도학적 관점
1) 도통론적 경전인식과 ‘정본’의 확인
2) 근사록의 존숭과 고증적 경전분석의 거부
3. ‘사서’ 해석과 경세론적 이해
1) 대학?중용 해석의 경세론적 성격
2) 논어?맹자의 경세론적 이해
4. ‘오경’ 해석과 경세론적 이해
1) 오경의 경세론적 이해
2) 척양론의 인식과 경학적 활용
5. 치도사의의 경세론과 경학적 활용
1) 치도사의의 경세론적 인식
2) 경장의 인식과 한계
6. 김평묵의 경학과 경세론 인식이 지닌 의미

박장현의 해동춘추·반도서경과 민족역사의 경전화
1. 박장현의 경학과 민족의식의 문제
2. 근대유교의 민족의식과 종교적 각성
3. 박장현의 공교 인식과 경학적 과제
1) 생애와 유교진흥책임의 각성
2) 경전과 민족사의 통합적 재구성
4. 해동춘추의 편찬의도와 구성체제
1) 해동춘추의 편찬의도
2) 해동춘추의 구성체제
5. 반도서경의 편찬의도와 구성체제
1) 반도서경의 편찬의도
2) 반도서경의 구성체제
6. 해동춘추와 반도서경이 지닌 성격과 의미

참고문헌
인명색인